반응형

 다들 알고 계시듯 법학적성시험 (LEET)은 총 세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교시 언어이해, 2교시 추리논증, 3교시 논술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중 두 번째 과목인 추리논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법학적성시험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법학적성시험의 출제 기관인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특정 전공 영역에 대한 세부 지식이 없더라도 대학 교육과정을 정상적으로 마쳤거나 마칠 예정인 수험생이면 주어진 자료에 제공된 정보와 종합적 사고력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문항을 구성함.

법학적성시험, leet.or.kr

 

 

그리고 추리논증 영역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사실, 주장, 이론, 해석 또는 정책이나 실천적 의사결정 등을 다루는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활용하여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에 필요한 추리(reasoning) 능력과 논증(argumentation) 능력을 측정함.

법학적성시험, leet.or.kr

 

 

2009학년도 법학적성시험 시행공고에서는 추리논증 영역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추리논증 영역은 사실이나 견해 또는 정책이나 실천적 의사 결정 등을 다루는 일상적 소재와 논리학․수학, 인문학, 사회과학,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에 필요한 추리(reasoning) 능력과 논증(argumentation)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임.

◦추리논증 영역은 특정 전공 영역에 대한 세부 지식이 없더라도 대학 교육과정을 정상적으로 마쳤거나 마칠 예정인 수험생이면 주어진 자료에 제공된 정보와 종합적 사고력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문항을 구성함.

◦추리논증 영역은 출제 범위를 특정 학문 분야로 제한하지 않고 일상적 소재 및 논리학․수학, 인문학, 사회과학, 과학․기술 분야의 다양한 학문적 소재를 활용하여 폭넓은 독서 체험과 문제해결 경험을 바탕으로 한 문제해결력과 사고력을 측정함.

2009학년도 법학적성시험 시행공고

 

 추리논증은 다행히도 언어이해보다는 특정 전공 영역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비교적 편하게 풀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풀이 스킬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또한 출제 영역이 비교적 정형화되어있어 연습을 통해서 큰 폭의 성적 향상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추리논증은 정형화된 유형이 많기 때문에 그 유형만 완벽하게 해도 30개 이상 풀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2020리트 기준 원점수 30/40 = 표준점수 71.9점 정도) 따라서 수능 수학처럼 유형별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고 꽤 중요합니다. (단, 연도별로 기출푸는 것도 반드시 같이 해야하는데 이는 실제 시험에서 풀 때의 감을 위해서입니다.) 추리의 경우 성적 향상의 가능성이 높고 표준점수도 언어이해보다 높은점, 그리고 인하대, 아주대 등처럼 반영비상 추리논증에 가점을 주는 경우도 있기에 언어이해 점수가 잘 안나오고 추리논증 영역에 강점이 있다면 추리논증 영역에 집중하는 방안도 고려해볼만 합니다. 또한, 언어이해에 비해 추리논증의 경우 인터넷 강의 또는 현장 강의의 유용성이 조금 더 높다고 볼 수 있고, 특히 기초논리학은 웬만하면 강의를 통해서 숙지해두고 연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메가로스쿨 조성우, 김우진이 추리논증 영역 일타 강사입니다.)

 

 추리논증의 경우 어느정도 문제 배열이 정해져 있습니다. 법적추론 (10-15문제) - 사회과학 주제의 추리/논증 문제 - 논리게임/게임이론류의 문제 - 과학/기술 주제의 추리/논증 문제순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또한 5지선다형 문제 (일반 시험과 비슷한 유형)와 합답형(ㄱ,ㄴ,ㄷ)문제가 나뉘어져있지만 절대다수가 합답형 문제라 하나만 잘못 생각해도 맞춘 것으로 생각하고 넘어가게 되어있어 꼼꼼하게 살펴야 합니다.

 

 최근 3개년 리트를 봤을 때 앞 10-15문제 정도는 법률형(법적추론) 문제이기 때문에 법률형 문제에 대해서 완전하게 준비하는 것이 고득점을 위해 중요합니다. 법적추론 문제는 꼼꼼하게 읽는다면 쉽게 풀 수 있지만 시간이 3분 가량 밖에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단서조항에 집중하여 문제를 푸는 것이 필요합니다. (단서조항에서 ㄱ,ㄴ,ㄷ 중 한개가 거의 반드시 나옵니다.)

 

 사회과학 관련 추리/논증 문제에서는 특히 강화/약화 문제가 많이 나오는데 기출문제 분석과 함께 강화/약화 문제를 모아놓은 강화/약화 매뉴얼 (국어의 기술 저자 이해황)을 통해서 리트, PSAT 문제 등을 많이 풀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리트에 있어 강화약화 문제에서의 기준을 잡고 넘어가면 풀 수는 있겠지만 상당히 오답률이 높은 문제 유형이기에 계속된 연습이 필요합니다.

게임이론/논리게임 등의 경우에 연습을 해보다가 도저히 시간 안에 (3분 정도) 풀 수 없다면 찍고 다른 부분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우의 수를 이용한 풀이가 가장 정형적이지만 경우의 수를 빠르게 도출하지 못한다면 사실상 시간 내에 푸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과학/기술 주제의 추리와 논증 파트는 기본적으로 과학과 기술의 용어들이 낯설어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문제는 쉬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39, 40번의 문제들은 대체로 정형화되어있어 이에 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추리논증 영역 같은 경우 문제풀이를 계속하다보면 어느 정도 감이 잡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계속해서 문제를 풀어보고 자신이 왜 틀린 것인지, 어느 부분에서 잘못 생각했는지 곰곰히 생각하고 넘어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 문제를 풀어보고 틀려서 곰곰히 생각을 해보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 다시 풀었을 때도 똑같은 답을 골라 틀리는 경우가 빈번할 것입니다. 따라서, 리트 고득점을 위해서 자신의 사고 과정을 리트형으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차후에 추리논증 출제 영역에 대해서 자세한 내용 그리고 추리논증 공부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써보려고 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 쪽지 등을 남겨주시면 확인하는대로,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는대로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